
이름 그대로 코피가 나는 비출혈(鼻出血)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다. 폐열이 몰려 코피가 흐를 때에는 코가 마르고 기침이 나며 가래가 섞여 나오는 등 증상이 겹쳐 나타난다. 위열로 인해 코피가 흐를 때에는 코가 마르고 갈증이 심해서 자주 물을 마시고 입에서 냄새가 나는 등 증상이 겹쳐 나타난다. 간화(肝火-간의 기능항진(機能亢進)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열상)로 코피가 흐를 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눈이 출혈되어 쉽게 화를 내는 등 증상이 겹쳐 나타난다. [505]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코피가 흐를 때 (1) - 재료 : 식초 50㎖, 천일염 5g, 물 300㎖ - 용법·용량 : 먼저 소금을 물에 넣어 용해시킨 후 한 번에 마신다. 이어서 약 3분 후에 식초를 마시면 되는데, 이렇게 아침저녁으로 ..

자궁이 밑으로 쳐져 질구 혹은 질구 밖으로 탈출하는 증상을 자궁 탈수(子宮脫垂)라고 한다. 이 병은 주로 출산 때 지나치게 힘을 쓴 탓으로 기가 상했거나 산후에 변비로 인해 배변 때 너무 힘을 쓴 탓이거나 또는 산후에 너무 일찍 무거운 것을 들거나 힘든 일을 하면서 힘을 썼을 경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다. 자궁 탈수가 오면 허리가 시큰거리며 아프고 무릎마디가 쑤시며 대하증, 월경 과다(월경 양이 많고 지속 일수가 길어지는 증상) 등 여러 가지 증상이 겹쳐 나타난다. [344] 자궁이 밑으로 처졌을 때 (1) - 재료 : 식초 250㎖, 차자(茶子, 차씨를 짠 찌꺼기) 150g - 만드는 법 : 먼저 식초를 펄펄 끓이다가 차자를 넣은 후 작은 그릇에 쏟아 부으면 된다. - 용법·용량 : 환자가 이 작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여성의 성기로 흰 빛 또는 누런빛의 병적 분비물을 많이 분비되고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것을 대하증(帶下症)이라고 한다. 때에 따라서 대하증은 외음부를 빨갛게 부어오르게 하는 등의 자각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대하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평소부터 특히 월경 전후, 출산 후에 성교를 지나치게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찬 음식, 찬물 목욕, 찬 곳에서 자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 평소 외음부를 씻을 때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온수에 식초를 큰 스푼으로 하나 정도 타서 씻는 것이 좋다. [338] 설사 증상이 있는 대하증일 때 (1) - 재료 : 달걀 2개, 금앵자(金櫻子-장미과에 속한 상록 관목) 15g - 만드는 법 : 먼저 금앵자에 물 1000㎖ 정도를 붓고 은근한 불..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여성의 성기로 흰 빛 또는 누런빛의 병적 분비물을 많이 분비되고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것을 대하증(帶下症)이라고 한다. 때에 따라서 대하증은 외음부를 빨갛게 부어오르게 하는 등의 자각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대하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평소부터 특히 월경 전후, 출산 후에 성교를 지나치게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찬 음식, 찬물 목욕, 찬 곳에서 자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 평소 외음부를 씻을 때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온수에 식초를 큰 스푼으로 하나 정도 타서 씻는 것이 좋다. [333] 쉽게 피로를 느끼며 오줌 색깔이 벌건 증상이 함께 오는 대하증일 때 (1) - 재료 : 식초 250g, 백반(白礬) 60g, 신선한 가죽나무껍질 100g - 만드는 법 : 먼저 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여성의 성기로 흰 빛 또는 누런빛의 병적 분비물을 많이 분비되고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것을 대하증(帶下症)이라고 한다. 때에 따라서 대하증은 외음부를 빨갛게 부어오르게 하는 등의 자각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대하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평소부터 특히 월경 전후, 출산 후에 성교를 지나치게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찬 음식, 찬물 목욕, 찬 곳에서 자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 평소 외음부를 씻을 때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온수에 식초를 큰 스푼으로 하나 정도 타서 씻는 것이 좋다. [331] 만성 골반 내염으로 인해 생기는 백대하증일 때 (1) - 재료 : 식초 적당량, 유채씨 60g, 육계(계지) 60g, 밀가루 약간, 청주 적당량 - 만드는 법 : 먼저 유채씨와 육..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여성의 성기로 흰 빛 또는 누런빛의 병적 분비물을 많이 분비되고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것을 대하증(帶下症)이라고 한다. 때에 따라서 대하증은 외음부를 빨갛게 부어오르게 하는 등의 자각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대하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평소부터 특히 월경 전후, 출산 후에 성교를 지나치게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찬 음식, 찬물 목욕, 찬 곳에서 자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가정에서 평소 외음부를 씻을 때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온수에 식초를 큰 스푼으로 하나 정도 타서 씻는 것이 좋다. [330] 현기증이 나면서 허리가 시큰거리는 증상이 있는 백대하증일 때 - 재료 : 식초 적당량, 부추씨 적당량, 소주 약간, 벌꿀 적당량 - 만드는 법 : 먼저 부추씨를 식초에 끓인 후 약..

월경기가 아닌 때 음도로 많은 양의 피를 흘리거나 혹은 조금씩 출혈하는 증상을 자궁출혈(子宮出血)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이 증상을 붕루(崩漏)라고 하는데 발병시에 빈혈, 심계(心悸), 사지궐랭(四肢厥冷-팔다리가 차가워지는 병), 현기증 같은 증세가 함께 나타난다. [326] 질에서 대량으로 출혈할 때 (1) - 재료 : 식초, 모려(굴조개껍질), 애엽(약쑥) 각 적당량. - 만드는 법 : 먼저 모려를 불에 구워서 보드랍게 가루를 내고 애엽도 찧어 가루를 낸다. 이 가루를 한데 섞어 식초에 개어 벽오동씨 크기로 알약을 빚어 만든다. - 용법·용량 : 매일 알약을 40∼50알씩 식초 반잔과 함께 먹는다. [327] 질에서 대량으로 출혈할 때 (2) - 재료 : 파뿌리, 생강 각 50g, 황기 50g, 참기..

월경기가 아닌 때 음도로 많은 양의 피를 흘리거나 혹은 조금씩 출혈하는 증상을 자궁출혈(子宮出血)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이 증상을 붕루(崩漏)라고 하는데 발병시에 빈혈, 심계(心悸), 사지궐랭(四肢厥冷-팔다리가 차가워지는 병), 현기증 같은 증세가 함께 나타난다. [323] 폐경기가 지난 지 1년이 되었는데 자궁 출혈할 때 - 재료 : 식초 적당량, 황금(黃芩-속썩은풀) 가루 100g - 만드는 법 : 먼저 황금을 식초에 24시간 정도 담가 불렸다가 햇빛에 말린다. 그 다음 이것을 재차 식초에 담가 불렸다가 햇빛에 말린 후 곱게 가루를 내면 된다.이 황금 가루를 식초에 개어 벽오동씨 크기로 알약을 빚어 만든다. - 용법·용량 : 하루 한 번 10알씩 먹는데 나을 때까지 계속 먹는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더불어민주당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마늘
- 마른 생강
- 에세이
- abc트레킹
- 윤석열지지율
- 모닝컨설트
- 생강효능
- 대파
- 대추
- 녹차
- 기본소득당
- 생강
- 달걀
- 외교참사
- 파뿌리
- 약쑥
- 벌꿀
- 이재명
- 히말라야
- 이태원참사
- 자서전
- 네팔
- 안나푸르나
- 식초 효능
- 생강 효능
- 식초
- 윤석열
- 여론조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