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모는 흔히 산후에 외감(外感), 헐허(血虛), 어혈(瘀血), 식체(食滯) 등에 의해 열이 난다. 외감으로 열이 날 때에는 오한과 함께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땀은 나지 않지만 기침과 콧물을 흘리기도 한다. 헐허 즉 피가 부족하여 열이 날 때에는 미열이 나고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배가 은은히 아프다. 어혈로 인해 열이 날 때에는 추었다 열이 났다 하고 오로가 잘 나오지 않으며 아랫배가 아프다. 식체로 열이 날 때에는 명치 밑이 더부룩하며 때로 아프고 트림을 한다. [379] 여러 가지 원인으로 산모가 산후에 열이 심하게 오를 때 (1) - 재료 : 파 밑동 5개, 검정콩 30g, 소주 두 잔 - 만드는 법 : 검정콩을 연기가 날 정도로 볶다가 뿌리까지 있는 파 밑동을 잘게 썰어 넣고 또다시..

여러 가지 원인으로 경계가 뚜렷한 다갈색, 암갈색 색소가 얼굴에 불규칙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기미는 주로 중년 이후의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기미를 없애기 위해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이 근본적인 치료책은 아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기미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면서 강한 햇빛을 피하고 평소에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몸에 필요한 식이요법을 하고 특히 커피, 담배, 설탕, 술 등을 삼간다. [248] 눈, 이마, 입 주위에 기미가 생겼을 때 (1) - 재료 : 식초 적당량, 콩 250g - 만드는 법 : 콩을 깨끗하게 씻어서 식초(콩을 잠기게 할 정도의 양)와 함께 용기에 담고 밀봉한 뒤 15일간 저장하면 된다. - 용법·용량 : 매일 콩을 8∼9알씩 먹으면 되는데 ..

타박상(打撲傷)은 타박, 충돌, 추락 등 외상에 의해 상한 증상을 말한다. 타박상을 입으면 국소의 동통(疼痛), 종창(腫脹), 열감(熱感)과 함께 혈관이 손상을 입어 내출혈이 있을 수 있다. 타박상은 신체 어느 부분이나 일어날 수 있으며 그 중 머리에 타박일 경우에는 뇌진탕 등 심한 후유증을 남기는 수가 있으므로 타박을 입은 후 두통, 현기증, 구토 등 증세가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고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팔다리가 타박일 경우에는 찬 물수건을 환부에 대고,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일이 흔히 있으므로 부목을 대고 수건이나 붕대를 감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198] 타박상으로 출혈이 심할 때 - 재료 : 달걀껍질 적당량 - 만드는 법 : 달걀껍질을 불기운에 말려 서 곱게 가루를 낸다. - ..

종기(腫氣)는 일반적으로 목덜미, 볼기, 손목 등 많이 생기는데 열이 나며 아프고 고름이 생긴다. 또한 악성 종기는 목, 등, 배 따위에 생기는데, 병이 진전됨에 따라 피부가 단단하게 만져지며 시일이 지나면 곪아서 구멍이 생기고 동통, 고열, 오한이 일어난다. [121] 붓고 곪으며 잘 낫지 않는 악성 종기일 때 (1) - 재료 : 마늘 125g, 망초 60g, 대황(가루 낸 것)30g, 식초 60㎖ - 만드는 법 : 마늘 껍질을 벗겨버리고 망초와 함께 빻아 고루 섞어서 고약처럼 만든다. 그 다음 따로 대황 가루를 식초에 개어 풀처럼 만든다. - 용법·용량 : 먼저 환부를 바셀린으로 닦아낸 다음 고약(마늘과 망초를 짓찧어 만든 것)처럼 만든 것을 환부에 가득 바르고 붕대로 감아 고정시킨다. 그 다음 1시..

간경화(肝硬化)란 간장이 단단하게 굳어진 상태를 말하는데 증세로는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복수(腹水)가 오며 복부와 흉부의 피하점액이 부풀어 올라 얼기설기 꿈틀거리는 모양을 보이며 식도, 위장, 비장에까지 혈액이 고이며 피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증상이 더 악화되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민간요법을 쓰면 효과를 볼 수 있다. [107] 간경화로 복수가 올 때 (1) - 재료 : 달걀 2개, 백설탕 10g, 오공 3∼4개 - 만드는 법 : 먼저 오공을 약한 불에 말려서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이것을 달걀, 백설탕과 함께 물에 풀어서 솥에 넣고 푹 찐다. - 용법·용량 : 한 번에 먹되 장기 복용한다. * 오공(蜈蚣) : 지네강에 속하는 지네의 몸통 [108] 간경화로 복수가 올 때 (2) - 재료 : 생..

간장염(肝臟炎)은 간에 생기는 염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심장 못지않게 중요한 장기 중의 하나인 간장은 병이 악화될 경우에는 생명의 위험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때에 치료해야 하는데, 고치기 어려운 이 간질환에도 민간요법이 특히 효과가 좋다. [100] 황달을 동반한 간염에 걸렸을 때 (1) - 재료 : 달걀 1개, 사인(砂仁) 1g - 만드는 법 : 달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여기에 가루 낸 사인(砂仁)을 넣어서 젖은 종이로 그 구멍을 막은 다음 쪄서 달걀을 익히면 된다. - 용법·용량 : 한 번에 먹는다. 이 달걀을 매일 2개씩 20일 간 계속 먹는다. [101] 황달을 동반한 간염에 걸렸을 때 (2) - 재료 : 생강 10g, 사철쑥 30g, 부자 30g - 만드는 법 : 위의 재료를..

설사(泄瀉)는 몸에 해로운 것을 먹었거나 세균의 침입 등으로 생긴다. 설사 변은 죽이나 물 모양으로 때로는 미끈한 점액이나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화장실에 가도 거뜬하지 않고 계속 아랫배가 아프며 배 안에 가스가 꽉 찬 듯이 느껴질 때도 있다. 이런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민간요법이 좋다. [094] 팔다리가 차면서 설사할 때 (1) - 재료 : 식초 30㎖, 달걀 3개, 생강 15g,소금, 파 약간 - 만드는 법 : 냄비에 기름을 가열하여 생강과 파, 소금 약간을 넣고 볶다가, 달걀을 깨어 넣고 떡 모양으로 납작하게 구우면서 또 식초를 넣는다. - 용법·용량 : 식사대용으로 먹는다. [095] 팔다리가 차면서 설사할 때 (2) - 재료 : 싱싱한 약쑥 약간, 달걀 1개 - 만드는 법..

설사(泄瀉)는 몸에 해로운 것을 먹었거나 세균의 침입 등으로 생긴다. 설사 변은 죽이나 물 모양으로 때로는 미끈한 점액이나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화장실에 가도 거뜬하지 않고 계속 아랫배가 아프며 배 안에 가스가 꽉 찬 듯이 느껴질 때도 있다. 이런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민간요법이 좋다. [091] 물 같은 변을 보는 설사일 때 (1) - 재료 : 마늘, 후추 각 적당량 - 만드는 법 : 위의 재료들을 한데 섞어 빻으면 된다. - 용법·용량 : 배꼽에 붙이고 가제와 반창고로 고정시킨다. [092] 물 같은 변을 보는 설사일 때 (2) - 재료 : 싱싱한 생강 10g, 약쑥 7g - 만드는 법 : 위의 재료를 달여 반 사발 정도의 약물을 만든다. - 용법·용량 : 더운 약물을 한 번에..
- Total
- Today
- Yesterday
- 히말라야
- 윤석열
- 여론조사
- 달걀
- 이재명
- 파뿌리
- 기본소득당
- 약쑥
- 생강
- 모닝컨설트
- 생강 효능
- 생강효능
- 외교참사
- 식초
- 벌꿀
- 이태원참사
- 마늘
- 마른 생강
- 대추
- 식초 효능
- 더불어민주당
- abc트레킹
- 네팔
- 안나푸르나
- 윤석열지지율
- 에세이
- 대파
- 자서전
- 녹차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