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치통은 일반적으로 충치를 말한다. 치통이 심하면 두통이 일어나고 음식을 먹지 못하여 하는 일에 막대한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발육이나 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즉각 효과를 보는 화학약품의 사용으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치통을 완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민간요법을 사용하면 임시방편적인 대책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555] 이가 삭으면서 치통이 심할 때 (1) - 재료 : 식초, 물 각각250g, 옹채뿌리(나팔꽃 나물 뿌리) 200g - 만드는 법 : 위의 재료를 함께 푹 달여 걸러 낸다. - 용법·용량 : 약물을 입에 물고 몇 분 있다가 양치질을 한다. 하루에 몇 번씩 계속하면 된다. [556] 이가 삭으면서 치통이 심할 때 (2) - 재료 : 달걀 ..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치통은 일반적으로 충치를 말한다. 치통이 심하면 두통이 일어나고 음식을 먹지 못하여 하는 일에 막대한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발육이나 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즉각 효과를 보는 화학약품의 사용으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치통을 완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민간요법을 사용하면 임시방편적인 대책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551]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치통일 때 (1) - 재료 : 식초 1㎖, 녹차잎 3g - 만드는 법 : 먼저 녹차잎을 뜨거운 불에서 5분 간 우려 낸 후 건더기는 버리고 우려낸 물에 식초를 넣는다. - 용법·용량 : 하루에 두세 번씩 양치질을 하는데 나을 때까지 계속 한다 [552]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치통일 때 (2) - 재료 : 자주색 마늘..

치주염(齒周炎)은 풍치라고도 하고 또 치조농루(齒槽膿漏)라고도 하는데 잇몸조직에 병이 생긴 것으로 치은염(齒齦炎)에서 한 단계 발전한 병이다. 치주염은 반드시 치은염의 단계를 거친다. 이 병은 충치와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어릴 때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 서서히 발생하는 만성인 경우가 많다. 치주염은 초기에는 치아 주위와 잇몸에 작은 만성 염증이 생겨 칫솔질을 할 때마다 피가 나오고 입 안이 늘 끈적끈적하고 악취가 난다. 치아는 통증은 없지만 근질근질하다. 이 증상이 점점 악화되면 가끔 치아가 들뜨는 듯 느껴지기도 하며 잇몸이 올라오거나 그 반대로 위축되어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또 악화되면 찬물로 양치질을 하면 이가 몹시 시리고 시큰거리며 통증이 있고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고름이 흘러나와 입 안의 악취가 ..

눈다래끼란 눈썹 뿌리나 피지선(皮脂腺-진피 가운데에 있는 분비선)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생긴다. 다래끼가 생기면 눈꺼풀이 근질근질하면서 통증 등을 호소하게 되며, 터지면 고름이 흘러나온다. 이런 다래끼로 인해 눈꺼풀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눈이 충혈되고 불거져 나온다. 그러므로 다래끼 초기에는 화농을 방지하기 위해 눈언저리에 냉찜질을 하거나, 화농할 조짐이 있을 때에는 온찜질하는 것이 좋다. 특히 다래끼를 잘못 다루면 습관성이 되어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538] 다래끼가 생겨서 눈꺼풀이 벌겋게 부어오르며 아플 때 (1) - 재료 : 식초 적당량, 생지황(生地黃) 20g - 만드는 법 : 생지황을 깨끗하게 씻은 후 찧어 식초에 갠다. - 용법·용량 : 환부에 바르되..

기타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 생선가시와 짐승의 뼈가 목에 걸려 찌르는 듯이 아플 때, 귀울림이 있을 때, 갑자기 귀가 들리지 않을 때,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527]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1) - 재료 : 식초 적당량 - 용법·용량 : 귓속에 몇 방울을 떨어뜨린다. [529]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2) - 재료 : 생강 적당량 - 만드는 법 : 생강을 깨끗하게 씻어 찧고 보자기로 즙을 짜낸다. - 용법·용량 : 귓속에 몇 방울을 떨어뜨린다.

기타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 생선가시와 짐승의 뼈가 목에 걸려 찌르는 듯이 아플 때, 귀울림이 있을 때, 갑자기 귀가 들리지 않을 때,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523] 생선가시와 짐승의 뼈가 목에 걸려 찌르는 듯이 아플 때 (1) - 재료 : 식초 120g - 용법·용량 : 식초를 마신 후 빵을 씹어 먹거나, 식초를 입에 몇 분간 물고 있다가 천천히 삼킨다. [524] 생선가시와 짐승의 뼈가 목에 걸려 찌르는 듯이 아플 때 (2) - 재료 : 마늘 한 쪽, 백설탕 적당량 - 만드는 법 : 마늘 껍질을 벗긴 후 칼로 두 조각이 되게 자른다. - 용법·용량 : 양 콧구멍에 밀어 넣고 콧구멍을 꽉 막아버린 후 백설탕을 한 숟가락을 먹는다.

인후염(咽喉炎)이란 인후(목구멍의 인두와 후두)에 생긴 염증을 말한다. 흔히 볼 수 있는 이 질병의 증상은 주로 성대와 그 부위에 염증이 생겨서 목이 쉬고 동통이 있으며 건조감, 작열감, 이물감과 하께 목 속이 근질근질하고 기침, 미열이 있고 심하면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 이밖에도 끈적거리는 가래가 나오며 호흡곤란, 두통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인후염이 있을 때에는 말을 되도록 적게 하고 술, 담배를 금하면서 민간요법을 실천한다. [518] 만성화된 인후염일 때 - 재료 : 달걀흰자위 1개, 식초 15g, 도라지 2g, 은화(銀花-인동덩굴의 흰꽃) 5g - 만드는 법 : 먼저 식초에 물 30㎖ 정도를 부어 질그릇에 담고 몇 분 동안 끓인 후 은화와 도라지를 넣고 다시 몇 분 더 끓인 다음 ..

바이러스, 연쇄구균(連鎖球菌) 등으로 발생하는 편도염(扁桃炎)은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이 병에 걸리면 고열, 오한, 두통 등이 있고 침이나 음식물을 삼키기 곤란하며 심한 통증이 있다. 이 때 목 안을 들여다보면 편도는 빨갛게 부어있으며 하얀 반점이 백태 모양으로 편도 표면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성 편도염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별로 증세를 보이지 않다가 염증이 생기면 인후통, 이물감(異物感), 기침이 있고 입에서 냄새가 난다. 뿐만 아니라 편도가 비대해지면 입으로 숨쉬기도 곤란해진다. 이럴 때에는 목에서 앞가슴까지 따뜻하게 해주며 자극성이 있는 음식물은 피하고 채소, 고기와 쌀을 같이 끓인 미음이나 죽으로 식이요법을 하는 것이 좋다. [517] 1년에도 몇 차례나 발생하는 만성 편도선염..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추
- 여론조사
- abc트레킹
- 식초
- 에세이
- 생강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외교참사
- 파뿌리
- 윤석열지지율
- 이재명
- 윤석열
- 히말라야
- 녹차
- 이태원참사
- 안나푸르나
- 식초 효능
- 더불어민주당
- 자서전
- 약쑥
- 생강효능
- 마른 생강
- 대파
- 마늘
- 기본소득당
- 달걀
- 생강 효능
- 벌꿀
- 네팔
- 모닝컨설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